
2014. 1. 13
Vol.131
이동수 새해, 또 한 해를 선물받았습니다. 소중하고 값진 시간들이 되도록 해야겠습니다. /김성희 잡념을 떨치고 일에 집중하기. 의연한 어른되기. 행복한 건축가 되기. /윤종태 활력있는 한 해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장기적인 계획을 통해 하루 하루를 보다 더 계획적으로 활용하며 타인을 배려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한계화 어떤 일에도 감사함을 가질수 있기를.. /함은아 새로운 환경에서 일하게 되었으니 무사히 적응하는 것이 첫째 목표, 그리고 30대 마지막 해를 우아하게 보내고 싶습니다. /신중수 가족들의 건강과 행복한 소식이 가득한 새해 기원합니다. /이완선 시간을 알차게 활용하며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을 많이 만들고 싶습니다. /곽동현 가정엔 평화, 현장의 무사고를 기원하며… /김기원 시간절약, 우진이 방 만들어주기, 건강 챙기기 /최 현 좋은 아빠, 좋은 남편, 좋은 리더가 되기를… /한정한 올 해는 작년보다 웃을 일이 더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홍종화 올 해는 작년보다, 내일은 어제보다 더 즐거운 건축 일상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김기현 장수와 번영. /김세현 기본에 충실하겠습니다. 2014년 하지 못한 것들에 대해 후회가 없기를 바랍니다. /김태용 모든사람이 항상 웃을수있고, 건강하기를! /안유진 2014년, 사소한 것에도 감사하며 늘 웃음소리가 넘쳐나는 행복한 한 해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중현 멋진 아버지, 멋진 건축가, 멋진 사람. /한신욱 깊은 곳에 있는 내 모습 들여다보기. /고일환 목표를 갖자! 취미를 갖자! 자신감을 갖자! 가족 건강! /권수정 긴 호흡으로 오랫동안 사랑하고 배우고 건강하겠습니다. /김복연 고민 끝, 행복 시작. /김상효 가족들과 시간 보내기, 부모님 건강 챙겨드리기. /김선엽 할아버지 할머니 모시고 여행가기. /민소정 더 많은 생각을 가지며 더욱 더 견고해지는 한 해가 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가족들과의 시간을 자주 갖겠습니다. /서연화 매일을 충실하게 살겠습니다. 생각을 행동에 옮기면서 새해 소망을 이루겠습니다. /신현국 하루 한 시간 나를 위한 시간 가지기. 적극적인 사람이 되겠습니다. /이계현 주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길 바랍니다. 그리고 독립하고 싶습니다. /이고은 경험과 기회를 만들어가며 2014년의 모든 순간이 가장 중요한 기억으로 남게 되기를 바랍니다. /이규빈 초심. 평상심. 진심. /장유진 올 해 계획한 일 잘 되고 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하며 친분을 나누고 싶습니다. /정우열 사랑하는 모든 사람과 건강하길, 항상 신선한 생각과 진심으로 건축하기를! /표하림 지속 가능한 건축을 위하여! /하상준: 一手不退, 뒤 돌아보지 말고 달리자! /徐颖 To keep healthy, to work better, to visit a new country. /Frederik As I develop in confidence and gain experience working in this exciting part of the world I expect that being based here in 2014 I will be very rewarding. I hope to be given opportunities to express myself creatively as a designer and develop my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be an architect in Asia. /裴雨霏 쉬는 날을 이용하여 자원봉사를 할 계획입니다. 특히나 솔로탈출을 바랍니다. /郑赛赛 일과 생활을 합리적으로 계획하여 나만의 시간을 제대로 활용하며 피리, 기타 등의 악기 연습을 철저히 해서 공연을 준비하고, 세계 여행을 다녀오겠습니다. /杨飞 희망찬 한 해를 소망합니다.
Issue
![]() | SHS 인터뷰KTX 매거진 1월호에 SHS 인터뷰 기사가 실렸습니다. ‘작가의 방’ 섹션에 실린 이번 인터뷰는 이로재 사무실 전경과 SHS의 건축철학에 대해 소개하였습니다. 이로재 현판에 얽힌 이야기부터, 이로재 서재, 검도장, 1층과 2층을 연결하는 가파른 계단, 그리고 중정까지 건물 구석구석을 함께 돌아보며 이로재 건축을 통한 SHS의 건축철학을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 | SHS 강의지난 12월은 많은 강의로 바쁜 한 달이었습니다. 12월 2일 노원구청 강의에서 중계동 백사마을의 재개발 방식인 ‘사람과 장소 중심의 주거지 재생’을 통한 주거 모습과 도시흔적 보존에 대해 강의하였습니다. 이어서 조선대학교 인문학강의, 세계미래포럼 강의, 부산 사하구청 강의, 그리고 조선일보에서 강의가 있었습니다. 또한 19일에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서울 건축아카데미’에서 서울건축선언에 담은 뜻을 주제로 강의하였습니다. 장충동 앰버서더 호텔에서 진행된 샘표 그룹 강의를 마지막으로 12월의 강의가 마무리되었습니다. |
![]() | SHS WORKS지난 9일, 부산 감천문화마을 현장 답사가 있었습니다. 이번 현장 답사는 감천문화마을 리모델링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는 건축가 김인철, 조성룡, 프란시스코 사닌과 부산 사하구청장을 포함한 사하구 관계자들이 함께 동행하였습니다. 감천문화마을에 있는 5개소의 빈집을 리모델링해 명품 건축물로 만들 계획인 감천문화마을 프로젝트는 감천문화마을이라는 특색에 맞춰 도시 재생 콘셉트를 살려 건물을 새로 지을 계획입니다. 이 날 현장 답사에서 SHS는 감천문화마을에 도시 재생의 표준이 될 수 있는 건축물을 만들고 싶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그리고 지난 10일에는 대학로문화포럼 창립세미나가 있었습니다. 대학로문화포럼은 문화지구로 형성된 대학로의 본래 목적을 회복하자는 취지에서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가들이 뜻을 같이 하여 이날 공식 출범하였습니다. 창립세미나에서는 SHS가 포럼 대표로 선출되었고 대학로의 발전과 포럼의 과제, 그리고 대학로 발전을 위한 마로니에 공원의 문화적 활동방안 등의 발제가 있었습니다. |
![]() | SHS 전시12월 18일부터 약 5일간 열린 제 12회 서울디자인페스티벌에 SHS의 작품이 전시되었습니다. 한국무형유산진흥센터에서 한국문화콘텐츠 세계화를 위한 특별전으로 준비한 이번 전시는 무형문화재와 저명인사의 협업 작품을 준비하며 전통문화의 일상성 회복을 위한 생각을 소개하였습니다. SHS는 중요무형문화재 제 55호 소목장, 조화신 선생과의 협업작으로 문구반과 문구통을 전시하였습니다. |
Works
![]() | 대전대 제 5생활관 신축설계, 대전
|
![]() | 황산 주거단지 프로젝트, 중국
|
![]() | 시안추모공원, 광주
|
![]() | 판교동 근린생활시설, 판교
|
![]() | 판교 L주택, 판교
|
![]() | 리움메디, 대전
|
![]() | 파주 명필름 사옥, 파주
|
![]() | 서초동 삼양화학 사옥, 서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