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 8. 20
Vol.209
용산공원이 오랜 준비 기간을 거쳐 현실로 성큼 다가오기 시작했습니다. 용산공원 조성계획은 지난 2012년 국제현상설계에서 west8과 이로재, 동일기술 공사의 컨소시엄 팀이 당선, 긴 시간 동안 진행한 계획을 2018년에 마무리한 이후 큰 진척 없이 머물러있었으나 최근 용산 미군 기지의 이전이 가속화되면서 공원 조성을 위한 여러 준비작업들이 다시 활발하게 진행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중 하나로 지난 7월 21에 열린 용산공원 임시 개방행사가 있었습니다. 용산 기지 일부분인 장교 숙소 5단지를 임시공원으로 정비, 이곳에 용산 기지와 공원 계획안에 관한 전시공간, 자료실, 토론 공간 및 편의시설 등을 마련하여 공원 조성시기까지 상시 개방할 계획입니다. 사람들이 이곳에 자유롭게 모여 함께 용산공원에 관한 논의를 하는 ‘소통의 장’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운영될 예정입니다.
올해 초부터는 용산 기지 내 건축물에 대한 현장조사를 시작하였습니다. 이전이 끝난 건축물의 현황조사와 도면 점검을 통해 장기간 비워지게 될 건축물의 관리 계획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경찰청 부지, 군인 아파트, 전쟁기념관, 국립중앙박물관, 용산가족공원까지 공원의 경계가 확장되면 남산에서부터 한강으로 연결되는 녹지축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확장된 공원의 경계와 건축물 현장조사 결과, 그리고 임시공원에서 수렴한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내년 중 용산공원 계획안의 보완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Healing: the future park”로 이름 붙여진 용산공원의 설계 개념은 생태의 회복, 역사의 회복, 그리고 도시의 회복입니다. 백두대간에서부터 뻗어 나오는 한북정맥과 한남정맥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녹지축을 형성하고 오랜 기간 군기지로 사용되면서 훼손된 자연과 생태를 회복시키는 것이 ‘생태의 회복’입니다. ‘역사의 회복’은 외세에 의해 만들어지고 고립되었던 아픈 기억이 있는 역사적 장소를 도시의 일상으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기지에 남아있는 역사적 가치가 높은 건축물을 개수해 공원시설로 활용하고, 지난 기억을 담고 있는 기념물과 유적도 보존하여 공원시설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도시의 회복’은 서울 한복판에 고립되어 공백으로 지워져 있던 장소가 주변의 도심과 연결될 수 있도록 주변 도시의 문화시설과 공공영역의 흐름을 공원으로 연장시키는 계획을 말합니다. 내년에는 계획안을 더욱 완성도 있게 발전시켜 용산공원을 생태공원이자 역사 문화공원, 도시공원으로 조성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Issue
![]() | 용산공원 부분개방행사 참석, 조성계획안 발표7월 21일, 서울 서빙고동 일대 미군 장교 숙소 개방을 시작으로 용산 미군기지를 공원으로 조성하는 작업을 시작함에 따라 <함께 그리는 용산공원 부분개방 행사>가 열렸습니다. SHS는 행사에 참석해 용산 국가공원 국제공모에 당선된 조성계획안 ‘치유: 미래의 공원’을 제시했습니다. 894동에 이르는 기존 건축물 중 81동만 남겨 90%를 녹지화 하는 계획입니다. 이 계획안이 실현되면 남산부터 용산공원을 지나 한강을 잇는 녹지축을 온전히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됩니다. |
![]() | 국악방송 인생낭독人 촬영7월 27일, 파주 출판단지 ‘지혜의 숲’에서 국악방송 <인생낭독人>의 촬영이 진행되었습니다. SHS는 진행자와 호흡을 맞추어 즐거운 분위기로 촬영에 임했습니다. 대표 작품들에 대한 에피소드들과 SHS의 건축 철학인 ‘빈자의 미학’이 추구하는 가치, 김수근 건축가와의 인연 등 다양한 이야기가 오가고, 촬영은 SHS의 저서인 묵상의 한 대목을 낭독하며 마무리 되었습니다. 촬영분은 국악방송 채널에서 9월 방영 예정입니다. |
![]() | 갤러리아 광교 강연7월 11일, SHS는 갤러리아 광교점에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곳, 거주 풍경>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SHS는 강연에서 서구의 역사속 위계적 도시계획이 한국에서 실현되면서 사회 공동체가 배제되는 현상을 비판했습니다. 그리고 땅 위의 기억들이 손금처럼 남는, 지문(地文)의 개념을 제시하며 도시 고유의 지형과 생활이 고스란히 담겨 자연적으로 이뤄지는 건강한 도시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Works
![]() | 볍씨마을, 제주Byeobssi Village, Jeju제주시 조천읍 선흘리에 위치한 볍씨 마을은 현재 철근콘크리트 공사가 한창 진행 중입니다. 기초 콘크리트와 지상 1층 벽체 콘크리트 공사가 진행되었고, 양생 후 형틀 해체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별도의 내부 마감 없이 콘크리트 노출에 친환경 페인트 마감인 공간이 대부분인 점을 고려하여 골조공사에서부터 정밀하고 깔끔한 마감이 될 수 있도록 주의하고 있습니다. 마을의 형태가 서서히 드러나면서 볍씨 마을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시공 디테일과 현장 상황을 면밀히 체크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풍경과 다양한 건축 공간 속에서 좋은 기억을 남기며 함께 할 수 있는 장소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
![]() | 고성 유스호스텔, 고성Goseong Youthhostel, Goseong고성유스호스텔 건립 사업에 대한 실시설계가 진행중입니다. 동계훈련을 위해 고성을 찾는 청소년들에게 쾌적한 숙박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시설으로, 각종 행사를 위한 장소와 지역주민과 관광객들을 위한 휴게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실시설계를 진행해 나가면서 예산범위 내에서 계획안을 잘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구조, 기계, 전기, 토목, 조경 등 각 분야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하여 친환경적인 건물로 완성하고자 합니다. 8월말 실시설계를 마치고 각종 인증 절차를 준비할 예정입니다. 설계 과정이 잘 마무리 되어 고성 유스호스텔이 앞으로 고성군을 대표하는 건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길 바랍니다. |
![]() | 양류칭 국가 대운하문화공원Yangliuqing National Grand Canal
|
![]() | 오전동 근린생활시설, 의왕Ojeon-dong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Uiwang의왕시 백운산 자락에 위치한 오전동 근린생활시설은 두 채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건물의 1층은 사무 공간, 2층은 거주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층의 사무 간은 금속의 외장재로, 2층의 단독주택은 외단열 시스템으로 시공되었습니다. 내부 벽체는 콘크리트 노출면에 백색 도장을 하여 콘크리트 고유의 거친 질감을 가지면서도 전체적으로 흰색의 정돈된 모습으로 시공 중입니다. 현재 부대토목 공사와 안마당 포장 등 조경공사가 진행 중입니다. 상하수 관로와 전기 인입공사가 완료되면 마룻바닥 공사와 보수 보완작업을 거쳐 공사가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
![]() | 서교동 근린생활시설, 서울Seogyo-dong Complex Building, Seoul백색 노출 콘크리트의 모습으로 새롭게 태어날 서교동 근린생활시설은 현재 내/외부 마감공사를 진행중입니다. 우수처리계획에 따른 선홈통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창호 설치 이후 프레임 주변 방수 공사를 철저히 시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단열재의 결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현장을 확인하고 있으며, 공간별 내부 전개도를 작성하여 콘센트 및 스위치의 위치가 간섭되지 않도록 확인하였습니다. 장마철을 대비하여 대지 내 곳곳에 배수펌프를 설치하였고, 안전 연락망을 구축하여 우천으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철저히 준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남은 두 달여간의 마감공사 기간 동안 최고의 품질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현장 상황을 지속적으로 체크할 것입니다. |
![]() | 해방촌 ㅊ호텔, 서울Yonsan-dong Complex Building, Seoulㅊ근린 생활시설은 기본 설계를 마무리하고 인허가 도면을 작성 중입니다. 기본설계를 바탕으로 구조, 기계, 전기, 토목 등의 관계 전문가와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근린생활시설과 주거 공간이 함께 배치된 건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건축, 구조, 기계설비를 체계화할 수 있도록 협력업체의 도면을 상세히 검토하였으며 인허가와 관련된 법규 또한 면밀히 검토 중에 있습니다. 8월까지 행정업무를 마무리하고 착공을 위한 실시 도서를 준비할 예정입니다. 우리의 일상이 더욱 소중해진 시기에 앞으로의 삶과 기억이 자리할 문화복합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
![]() | 제정구커뮤니티센터, 고성Jae Jung Gu Community Center, Goseong제정구 커뮤니티센터는 내후성강판 하지 작업을 마무리하고 거터 및 연결 브래킷 설치 예정입니다. 내후성강판 마감과 창호 마감 상세도를 통해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고 창호 주변 방수 공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내부는 콘크리트 노출면 정리를 완료하고 바닥 마감공사를 위한 바탕 작업 진행 중입니다. 또한 냉난방 설비 및 전기배선 배관이 설치되는 설비 트레이 박스 공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내부 마당의 정자는 3.0X3.0, 높이 4m 박공 형태의 조형물로 내후성 강판 기초 보강 작업 진행 중입니다. 7~8월 장마 기간으로 인한 안전 및 현장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며 공사 일정에 맞추어 내후성 강판 마감 공사와 내부 수장 공사도 함께 진행될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