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 9. 11
Vol.151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지역본부에서 주최한 화성태안3지구 역사문화특화공간조성 마스터플랜 공모에서 이로재의 계획안이 대상으로 채택되었습니다. 계획 부지는 1998년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된 이후 대지여건상 계획을 수립하기에 있어 많은 절차와 변경을 거치면서 마스터플랜에 대한 확정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한 곳입니다. 전체부지면적 약359,500평 가운데 남측부지를 제외한 약229,700평의 북측부지에 대해 단독주택, 근린생활시설, 학교, 공공청사, 숙박시설, 근린공원 등의 용도로서 구상하는 계획입니다. 이 곳은 화산자락에 위치하는 우수한 자연환경요소를 비롯, 특히 서측의 융건릉과 동측의 용주사 사이에 입지하는 역사문화자원이 풍부한 땅으로서 정조의 초장지터에서부터 정자각터, 재실터와 남측의 만년제터에 이르기까지 역사유적들을 보존하고 활용하는 방안도 매우 중요한 계획요소입니다. 흔히 형형색색의 토지이용계획이 우선시되는 기존의 방식을 벗어나 이 땅에 부합되는 가장 자연스러운 형태의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곳에 가장 잘 어울리는 거주의 풍경을 만들자는 개념으로 계획되었으며, 이곳의 정체성과 역사적 기억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시의 기능을 매개하기 위한 풍경들을 만듦으로써 현재의 삶과 역사유적의 공존을 추구하고자 하였습니다. 효경(孝景), 지문(地文), 네트워크/노드를 기본개념으로 오랜 시간 동안 누적되어온 이 땅의 인문적/자연적 가치를 특성화하여 6개의 영역(옛길마을, 산수마을, 옛길공원, 역사문화공원, 한옥호텔, 불교문화공원)을 설정하고 구체화하였습니다. 각각의 영역들은 정형화된 도시의 틀보다는 땅의 흔적을 따라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존재하고 보행, 차량, 녹지, 수계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행위가 복합적으로 연계되는 살아있는 도시공동체를 형성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러한 마스터플랜에 부합되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계획 및 후속절차가 마련되어 이 땅에 가장 잘 어울리는 거주풍경이 실현되길 기대해봅니다.
Issue
![]() | SHS WORKS8월 23일에 방송된 SBS스페셜 <걷기의 시크릿>에 SHS 인터뷰가 방송되었습니다. 걷기의 다양한 능력을 보여주는 여러 사례를 방송하면서 걷는 도시를 위한 노력의 한 사례로 서울역 고가도로 공원화 사업을 소개했습니다. SHS는 “걷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것은 단순히 운동이나 건강 차원의 얘기만은 아닙니다. 공동체 정신을 고양시키기 위해서 걸어가서 만나자고 하는 것입니다. 우리 삶을 천천히 되돌아보면서 우리가 왜 사는지 근본적인 문제를 따져보자는 그런 측면에서, 우리 인간성을 고취하기 위해서 굉장히 중요한 과제입니다.” 라고 말하며 도시를 살아 숨 쉬게 하는 걷기의 힘에 대해 인터뷰했습니다. |
![]() | 동숭학당8월 12일에 진행된 동학 10강은 지난 7강에 모시고자 했으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로 인해 불가피하게 모시지 못했던 이나미선생의 강연이 진행되었습니다. 강연의 주제는 “Temenos_공간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로 최근 우리가 겪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길잡이 말씀을 주셨습니다. 동학 11강은 경성대학교 건축학과의 강혁 교수의 “흔들리는 장소”를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
![]() | 경향신문 연재경향신문에 SHS의 글이 실렸습니다. <보이지 않는 건축, 움직이는 도시>를 주제로 연재 중인 이번 글에서는 “포촘킨파사드와 도시의 속살”을 제목으로 우리가 사는 현대 도시가 가진 ‘포촘킨파사드’ 뒤에 가려진 진실된 풍경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
Works
![]() | 용산공원, 서울Yongsan Park, Seoul용산공원은 8월 중순에 3차 MP회의와 용산공원 조성관련 서울시 관계기관 간담회가 있었습니다. 간담회에서 서울시 관계기관과 용산공원 및 주변부의 계획안을 공유하고 앞으로 상호 협의할 것을 논의하였습니다. 3차 MP회의에서는 지금까지 용산공원 프로젝트의 진행상황 발표와 함께, 생태중심공원과 역사문화공원의 설계 방향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보존 및 재사용 건축물과 남겨야 할 도로 및 배치 패턴 등의 외부 공간구조를 WEST8과 최종적으로 선정하고, 지속적으로 동선, 지형, 수체계 등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며 건축물 배치계획을 완성시켜 나갈 것입니다. 아울러 건축물 디자인 가이드라인, 외장개념, 역사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방안을 정리하여 다음 MP회의까지 전체 공원의 마스터플랜을 발전시킬 것입니다. |
![]() | 명례성지 조성사업, 밀양Myungrye Holy Ground, Milyang지난 실무협의 내용을 바탕으로 마스터플랜 중 우선적으로 기념성당과 전시관, 안내센터의 기본설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념성당과 전시관은 재료와 구조시스템을 결정하고 자연채광과 환기, 냉난방시스템을 검토하여 계획안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안내센터는 성지 입구에 새로 구입한 부지에 성지 순례자들을 위한 안내소와 카페, 성물방, 식당과 화장실로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성지를 방문하는 순례자들의 규모가 다양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 중입니다. 또한 낙동강을 조망할 수 있는 너른 마당은 순례자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임과 행사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습니다. |
![]() | 경암교육문화재단, 부산KyungAhm Education&Culture Foundation, Busan경암교육문화재단 신축공사는 지하 2층 철근콘크리트 공사가 진행 중이며, 기초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었습니다. 토목공사 중 흙막이 가시설의 단계별 철거가 함께 이루어지고 있어서, 이에 따른 공정간 안전 및 품질관리에 유의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지하철과 인접한 현장의 지속적인 계측관리를 통해 흙막이 상태를 관찰/관리하고 있습니다. 철근콘크리트 공사가 시작됨에 따라 건축/구조뿐만 아니라 기계/전기 분야 협의가 종합적으로 진행 중입니다. 모든 공정의 자재의 검토와 승인, 공정의 검측 등을 수시로 진행하고 있으며, 신속하고 안전한 공사가 될 수 있도록 모든 관계자들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 | 대구특수금속 세천신공장, 대구Daegu Special Metal Factory, Daegu8월 말 현재 외장 공사는 공장동과 사무동이 동시에 외벽 골강판 및 창호설치 공사가 진행 중이며 외부 출입구 측 갈바 천정판 설치공사입니다. 내부 공사는 공장동 클린룸과 복도 건식벽체 및 천정 설치공사, 중정의 창호프레임 설치공사, 벽체 도장공사 중 입니다. 사무동은 내부 건식벽체 설치예정이며, 벽체 도장공사가 진행 중 입니다. 부속동은 경비동 벽체 골강판 설치공사가 진행 중이며, 폐수처리장 철골 설치 및 블록 쌓기 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기, 설비 및 소방시설이 건축과 연계되어 지속적으로 설치가 진행 중 입니다. |
![]() | 시안추모공원, 광주Sian Memorial Park, Gwangju시안추모공원 천의바람 조성계획은 미송널 콘크리트 마감면의 매끄러움과 발색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해 몇 차례 시험 타설이 진행되었습니다. 메인 길을 따라 계획된 경계벽의 기초를 세우기 위해 굴토한 부분에 암반이 발견되었고, 기초를 세우기에 적합하지 않은 상황임을 감안하여 묘역 안쪽으로 경계벽 위치를 이동하고, 수반의 폭을 조정하여 현황에 맞게 몇 가지 사항을 조정한 후, 공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수목장 부분과 D1~D3열에 위치한 봉안담은 선 분양이 가능하도록 요청이 있었고, 현재 수목장 부분의 약 3~5m 높이의 옹벽을 시공하고 있으며, 빛의 마당과 물의정원의 골조공사도 함께 완료할 예정입니다. |
![]() | 디자인 비따, 파주design Vita, Paju
|
![]() | 대전대학교 HRC(제5생활관), 대전Hyehwa Residential College, Daejeon Univ.대전대학교 제 5생활관은 골조공사 진행 중 입니다. 도로변의 일부 구간은 지상 1층까지 골조공사를 완료하였으며, 구간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추석 전까지 지상 2~3층까지 완료할 계획입니다. 구간별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도로 반대편인 학교 쪽 경사면은 상단부터 2차 터파기, 흙막이 토목공사 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