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 8. 09
Vol.162
오대산 자연체험 학습장은 오대산국립공원 내 방아다리 약수터를 중심으로 기존시설물을 재정비하고 새롭게 조성한 자연체험 학습장입니다. 기존의 노후한 시설물들을 주변 자연환경에 보다 적합하도록 정비하고, 자연수림의 뛰어난 생태환경요소를 접목한 자연체험 학습장을 만들었습니다.
총 1만9천885㎡ 부지는 기존 전나무 숲 환경을 활용한 산림체험 학습장과 방아다리 약수터를 중심으로 한 약수체험 학습장으로 구분됩니다. 산림체험 학습장은 습지원, 야외교육장, 야생화정원, 숲 속 쉼터, 숲 관찰데크 등으로 구성되며 약수체험 학습장은 입소관리 및 교육/세미나 기능의 교육체험관, 식당/스파시설 등의 식당/스파체험관, 명상수련을 위한 명상체험관, 학습장 외에도 숙박이 가능하도록 총 18실, 67명 규모의 생활관 5개가 갖춰져 있습니다. 각각의 건물은 철거 전 기존 시설물의 위치 및 규모 범위 내에서 계획되었으며 경사진 산지의 지형을 최대한 활용한 선형을 구성하고 그 지형을 근거로 건물을 배치함으로써 인공물위주의 계획이 아닌 지형이 곧, 건축이 되는 지문(地文)을 따르는 방식으로 계획되었습니다. 2012년 공원계획변경수립을 시작으로 약 1년여의 설계작업을 통해 2013년 11월 착공, 기존 시설물 철거와 계획시설조성을 거쳐 2016년 6월 사용승인을 끝으로 준공완료 되었으며 7월 15일에는 `MILLBRIDGE’라는 오대산 자연체험 학습장의 공식명칭을 알리고 그 동안의 노고에 감사의 뜻을 전하며 성황리에 개관식을 마쳤습니다.
자연을 존중하는 기본개념에서 출발한 오대산 자연체험 학습장이 다양한 기능이 합리적으로 연계된 유기체로서의 장소인 동시에 오대산 국립공원의 자연환경과 공생하는 풍경으로 자리잡기를 기원합니다.
Issue
![]() | SHS WORKS서울시에서 주관하는 ‘서울 학생 건축학교’가 SHS를 교장으로 하여 7월 25일부터 28일까지 운영되었습니다. 서울의 대표적인 소통 공간인 ‘광장시장’ 과 ‘방산시장’을 대상으로 학생 및 동반가족이 함께 건축을 체험하고 배우는 ‘서울 학생 건축학교’는 서울시 공공건축가 및 유명 건축가 9명이 강사로 나서 서울 시민청에서 4일간 수업이 진행되었습니다. |
![]() | SHS 인터뷰
|
동숭학당
|
Works
![]() | 명례성지 조성사업, 밀양
|
![]() | 제주 살아있는 미술관, 제주
|
![]() | 동숭동 주택, 서울
|
![]() | 염곡동주택, 서울
|
![]() | 대전대학교 HRC(제5생활관), 대전
|
![]() | 경암근린생활시설, 부산
|
![]() | 리움메디, 대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