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 4. 24
Vol.182
심연당(深緣堂), 판교의 가장자리 깊은 곳에 위치한 주택의 이름 입니다. 웨딩사업을 하시는 건축주분께서 인연(因緣)을 소중히 생각하며 ‘緣’자를 집 이름에 넣기를 희망하였습니다. 緣은 인연이라는 뜻도 있지만 옷의 가장자리에 놓는 실이며 가장자리를 가르키기도 합니다. 판교신도시 택지개발지구 주거 블록 끝자락에 놓여 있어 공원과 바로 연결되는 가장자리 깊은 곳의 땅으로 ‘深緣’의 땅입니다. 더불어 깊은 인연을 뜻하니 아주 오래된 관계입니다. 그리고 큰 개념인 여러 채의 집들이 겹겹이 모여있는 모양이 큰집을 이루는 ‘堂’자로서 ‘深緣堂’ 이 완성되었습니다.작년 5월부터 시작한 공사는 사계절을 지나 3월 말 완공이 되었습니다. 지하1층, 지상2층 규모의 주택은 지하는 창고로 활용하고, 1층은 거실, 식당, 주방 및 응접실 등 가족들의 주 생활공간이 마당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거실은 2개층을 오픈하여 높은 층고와 열린 조망을 확보하였으며, 식당은 가변도어를 설치하여 모임이 많은 건축주의 특성을 살려 마당과의 연계하며 폭넓은 공간활용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습니다. 2층은 사적공간으로 주인침실과 자녀침실의 공간을 분리하여 프라이버시를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경사지붕을 이용한 다락을 계획하여 디자인에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였습니다. 건물의 구성방식은 우리나라 전통 한옥의 채 구성 방식에 따라 기능별 독립된 채를 확보하고 마당을 공유하도록 하였으며, 각 채들이 다양한 높낮이를 이루며 여러 채의 집들이 모여 마을의 풍경을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각 채들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은 간결한 동선체계로 각 기능을 연결하고 공간효용을 높였습니다. 전체적으로 각 채에서는 마당과 자연경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열린 평면 구조를 통해 풍요로운 공간을 느낄 수 있습니다. 주변에 들어선 주택들은 박스형태의 매스로서 다양한 재료의 조합으로 개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대지에 들어설 판교주택은 각각의 공간이 박공형태를 이루고 서로 조합되어 내, 외부 백색의 재료로 담백하고 깨끗한 형태로 밝은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가장자리에 위치한 ‘ㄷ’자 형태의 주택이 도심 속 주변의 자연과 어우러져 사는 이들에게 풍부한 공간적 경험을 주고 삶을 온전히 담아낼 수 있길 바랍니다.
Issue
![]() | SHS 강의지난 3월 20일, SHS는 동아대학교 석좌교수로서의 2018년 첫 강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올해는 강연위주의 행사에서 벗어나 오픈 토크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첫 강의의 주제인 거주를 시작으로 장소, 풍경, 기억을 차례로 진행하며, 마지막 두 강의는 시민들에게도 개방되어있는 오픈 형식입니다. 3월 30일, 기업체 CEO, 임원 중견관리자 등 기업의 핵심인재들로 구성되어있는 KASIT 경영대학의 EMNA Insight Lecture Series에서도 ‘지문’을 주제로 올해 첫 강의를 진행하였습니다. |
![]() | SHS 중앙시평지난 3월 24일자 중앙일보에 ‘주택정책, 주거정책’의 제목으로 SHS의 글이 실렸습니다. “며칠 전, 뉴욕에 본부를 둔 머셔컨설팅이 예년처럼 2018년도 세계 주요 도시 삶의 질에 관한 순위를 발표하였다. 외국인이 주재하는 것을 상정해서 정치적 경제적 상황, 주거와 공공서비스, 사회와 문화적 환경 등의 기준으로 231개 도시의 등위를 다시 매겼는데, 이번에도 선두는 빈이었고 이는9년 연속의 기록이었다. …(중략)… 빈의 주거상황이 이렇게 선진적인 까닭에는 특별한 역사가 있다. 19세기 근대화의 바람을 타고 폭증한 도시인구를 수용하는 일은 유럽의 다른 도시들과 함께 빈에도 긴급한 문제였다. 그러나 일찍이 사회민주주의가 발달하고 오래 지속된 탓에 주택건설을 정부가 아니라 시민이 주도하는 일이 잦았으며 심지어는 거주 희망자 스스로가 노동을 제공하여 건설하는 경우도 많았다. 시 정부는 여기에 맞는 제도와 법령을 만들며 시민운동 같은 주택건설을 뒷받침하여 온 것이다. 주민이 참여하여 주거시설을 지으려면 논의가 자연히 활발해지고 그 합의에 따른 주거환경은 공유적일 수밖에 없다. …(중략)…그들은 허물고 새로 짓는 게 아니라 덧대고 고쳐서 새롭게 하여 이전의 거주역사를 기억하며 산다. 이 모든 일의 바탕은 공유의 가치이다. 이 공유적 삶의 방식에 따라 수 없이 다양한 거주형태를 만드는 그들은 그런 주거방식을 ‘빈 모델’이라 칭하며 세계 도처에 자랑하고 있다. …(중략)…” 자세한 내용은 http://news.joins.com/article/22471133 에서 확인가능합니다. |
동숭학당올해 <동숭학당>은 ‘공간’을 주제로 삼아 건축이 가지는 본질적인 의미를 모색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올해도 건축과 도시, 역사와 사회, 종교와 문학, 인문과 기술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에서 견고한 위치에 계신 분들을 모시고 총 18개의 강연을 기획했습니다. 지난 3월 14일, 동숭학당의 시작은 한양 대학교 건축학부 서현 교수님의 강의로 <건축공간의 탄생>이라는 제목을 가지고 공간이라는 단어의 기원이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 파헤쳐보는 시간이었습니다. 28일은 <공간은 어떻게 우리를 행복하게 만드는가>를 주제로 장석주 시인님이 강의를 맡아주셨습니다. 원초적 공간이 되는 우주 공간에서부터 다양한 공간의 범주를 예로 공간이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며 우리의 삶에 관여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
Works
![]() | 성서적풍경 명례성지, 밀양Biblical Landscape Myungrye Sacred Hill, Miryang
|
![]() | 강동미즈여성병원 신관, 서울Kangdong Miz Hospital, Seoul강동 미즈 여성병원은 현재 기본설계를 마무리하는 단계에서 층별 세부평면조정 중이며 동시에 입면디자인과 기본외벽상세 및 외장 재료에 관한 조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층별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건축주와의 미팅을 통해 조율 중이며 신설 외래진료 및 부대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구조세부계획을 적용검토 중이며 기계 및 전기 설비에 대한 내용은 면밀한 검토를 통해 반영하고 있습니다. 4월부터 실시설계 및 심의 및 허가관련 행정처리도 병행할 예정입니다. |
![]() | 용인 주택, 용인Yongin Residence, Gyeonggi-do용인주택은 실시설계를 마무리 하여 현재 시공사 선정을 위한 내역검토와 허가업무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존건물을 철거하고 새로 짓는 만큼 공정별 내역을 꼼꼼히 확인 중입니다. 건물외부는 외단열 시스템으로 백색의 담백하고 깨끗한 느낌을 살렸으며, 주변의 자연경관을 느낄 수 있도록 넓은 창과 테라스를 두는 입면계획을 세웠습니다. 내부는 깔끔한 흰 벽과 목재마감을 기본으로 추가 인테리어에 관해서는 건축주와 협의 중에 있습니다. 시공사가 선정이 되는대로 공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
![]() | 양평 서원, 양평Yangpyeong Arboretum, Yangpyeong양평서원은 경기도 양평에 조성될 수목원 부지 안에 조성 될 예정입니다. 지난달 기본계획 브리핑을 완료하였고, 건축주와 협의하여 건축공사비에 따라 규모나 세부 공간에 대한 의견을 반영하여 기본설계를 완료할 예정입니다. 4월중 기본설계를 완료하고, 6월 중순 실시설계를 완료할 예정입니다. 현재 구조 및 기계, 전기설비 업체들과 협의 중 입니다. 수목원을 찾는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이 없고, 과거의 전통공간을 현대화시킨 새로운 휴식과 명상의 공간이 되길 바랍니다. |
![]() | 오전동 근린생활시설, 의왕Ojeon-dong Neigborhood Living Facilities, Uiwang-si의왕시 백운산 끝자락에 위치한 오전동의 근린생활시설로 두 채의 건물로 공사 중입니다. 현재 기초콘크리트 공사 및 외부 콘크리트담장 설치가 진행중입니다. 두 동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어, 현장여건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초공사를 진행하고 후속 공정도 준비 할 예정입니다. 건물의 토대가 되는 기초공사인 만큼 꼼꼼히 매립배관위치 및 철근 배근 검측을 확인하여 작업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지로 연결되는 상수 및 하수처리배관을 검토하여 토목공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
![]() | 서교동근린생활시설 신축설계, 서울Complex Building of Munjeong District, Seoul서교동 근린생활시설은 기본설계를 진행 중입니다.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구조, 기계, 설비, 토목 등의 관계전문가와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하여 기본설계도서를 작성 중입니다. 근린생활시설과 주거공간이 함께 배치된 건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건축, 구조, 설비계획을 연구하고 있으며, 현황측량과 지질조사를 진행하여 건축선 및 지내력 등의 주요 설계 정보를 면밀히 확인 하고 있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이 곳에 머물며 쌓아온 건축주의 소중한 삶의 흔적들이 아름다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나길 기대합니다. |
![]() | 동숭동 주택, 서울Dongsung-dong Residence, Seoul동숭동 주택은 외부 단열재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며, 지붕금속 공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내부는 석고보드마감 완료 후 페인트마감을 앞두고 있으며, 화장실과 복도는 건축주와 협의를 통해 결정된 타일로 시공될 것입니다. 집들이 겹겹이 쌓아 올려진 주택의 형태가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도록 최종마감의 칼라를 주의깊게 검토하고 있습니다. 낙산 자락에 다가온 따뜻한 봄날처럼 새로운 풍경으로 다가올 주택의 모습을 기대해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