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 7. 24
Vol.185
2023년 새만금 간척지에서 개최될 세계잼버리는 세계스카우트연맹에서 매 4년마다 개최하는 세계적인 야영대회로, 4~5만여명의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활동입니다. 한국에서는 1991년도에 처음으로 개최하였고, 2022년 한국스카우트 창단 100주년을 기념하여 2023년 새만금에서 두 번째로 개최하는 매우 의미 있는 국제행사입니다. 잼버리 개최를 맞이하여 지원시설 및 경관쉼터를 계획하는 프로젝트로서 개최기간 중에는 관광객들에게 잼버리관련 행사와 홍보의 역할을 하며, 평상시에는 도로 이용자의 휴식공간 기능을 합니다. 전라북도 부안군에 위치한 대지는 관광지로 가는 첫 번째 쉼터이자 부안시민들에게는 ‘바람모퉁이’라고 불리는 곳입니다. 평소에는 바람이 많이 불고 툭 튀어나온 땅의 모양을 본 따서 만든 명칭은 잼버리 행사를 조망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로서 큰 중요성을 지닙니다. 대지의 경사를 활용하여 다양한 활동과 행사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큰 마당공간을 조성하고 그 사이사이 필요한 기능들을 배치하여 전망, 휴식, 회의, 공연, 공공행사, 특산품판매 등등 내부 및 외부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각종 행위들이 자연스럽게 연계될 수 있도록 배치하였습니다. 또한, 도로변에 위치한 대지의 특성상 빠르게 지나가는 속도에 대응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수평성을 강조하는 큰 지붕을 계획하였습니다. 다양한 행위들이 이루어지는 넓은 마당 위에 떠있는 지붕은 프로젝트의 중요한 요소로 빅텐트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였으며, 지붕면을 곡선으로 디자인하여 하늘로 비상하는듯한 모양을 띱니다. 일사, 우천 등의 기후조건이나 야간 등 여러 가지 여건에 대응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해줍니다. 마감재료는 자재자체로서 산회피막이 형성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안정화 되는 내후성강판을 선택하여 해풍에 강하고 유지보수에 유리하도록 하였습니다. 멋진 지붕에 걸맞은 합리적인 구조와 디테일을 보완하여 이용객들에게 편안한 쉼터가 되고, 잼버리를 상징하는 건축물로 새만금 풍경에 녹아 들 수 있길 바랍니다.
Issue
![]() | SHS 강의지난 6월은 동아대학교 네 번째 토크콘서트와 대전대학교 HRC 강의가 있었습니다. |
![]() | SHS 중앙시평지난 6월 16일 ‘베를린의 충고’라는 제목으로 SHS의 중앙시평이 실렸습니다. “…… 이 일은 통일된 베를린의 도시 건축을 총괄할 한스 스팀만이라는 건축가가 등장하기 전에 시작된 것이다. 1991년에 베를린 총괄건축가로 임명된 그는 ‘비판적 재건’이라는 개념으로 베를린의 도시를 재구성하기 시작한다. 뉴욕이나 시카고 같은 초고층의 도시는 그가 가진 구상의 반대편이었다. 역사에 바탕을 둔 베를린의 정체성을 지키는 것이 그가 정한 원칙이었다. 건축의 밀도와 높이, 형태와 재료까지 규제하며 상업자본과 개발업자의 욕망을 철저히 배제하였다.……대신에 베를린 장벽이 지나갔던 자리는 그대로 보존되거나 기념광장과 기념공원으로 남았으며, 잘 조직되었지만 낙후된 동베를린의 공공영역들은 조심스레 재생되었다. 도시의 공공성을 우선 강조하고, 곳곳에 산재해 있는 기억들을 공유하며,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실현하게 된 베를린은 드디어 ‘교환과 명상의 메트로폴리스’라는 명예를 얻으며 21세기 최고의 건축 도시로 각광받게 된다.…… ” 자세한 내용은 http://news.joins.com/article/22720958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동숭학당지난 6월달은 한국예술종합학교 김봉렬 총장님의 동숭학당 7강이 있었습니다. “공간과 종교적 세계관”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강의는 불교적 건축과 유교적 건축의 특징과 그 차이를 다양한 사찰을 예시로 흥미로운 강의를 진행해주셨습니다. 불교가 극심하게 탄압받던 시기에 불교 건축물은 왜 화려하고 웅장한 건축의 특징을 가졌으며, 그와 반대로 권력과 재력을 독점했던 유교의 건축물은 작고 초라한 성격을 띠었는지에 대한 탐구를 할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동숭학당은 6월 26일부터 약 2주간의 여름 수도원 기행을 마치고, 7월 고미숙 작가님과 이중식 교수님의 강연을 이어나갈 예정입니다. |
Works
![]() | 양평 서원, 양평Yangpyeong Arboretum, Yangpyeong
|
![]() | 문정지구 복합시설, 서울Complex Building of Munjeong District, Seoul문정지구 복합시설은 현재 지상6층벽체 및 지상7층 슬라브 타설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달 말 지상9층 슬라브 타설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상6-8층은 한방병원의 외래부분으로 환자중심의 시스템구축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
![]() | 하양교회, 경산Hayang Church, Gyeongsangbuk-do하양교회는 경북 경산시에 위치한 50명을 수용하는 작은 규모의 교회로서 외부 벽돌 쌓기 공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내 외부 모두 벽돌을 마감하여 절제된 공간에 최소한의 건축재료로 소박함을 주려고 하며, 천창의 빛을 이용하여 영성적 경건함을 담으려고 합니다. 8월 완공을 목표로 창호 및 금속공사 디테일 협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작지만 아름다운 예배당으로서 마음의 안식과 위안을 가질 수 있는 장소가 되길 기대해봅니다. |
![]() | 성서적풍경 명례성지(사제관, 수녀원), 밀양Biblical Landscape Myungrye Sacred Hill, Miryang
|
![]() | 사야파크 명정, 군위Saya Park Myungjung, Gunwi
|
![]() | 한살림 연수원 신축설계, 괴산Hansalim Inservice Education Institute, Goesan
|
![]() | 동숭동 주택, 서울Dongsung-dong Residence, Seoul동숭동 주택은 지난 주 외부비계 철거를 완료하며 1년여만에 그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White, Gray, Ivory 톤의 세 가지 색상으로 칠해진 각 채들이 낙산자락에 새로운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현재 7월말 준공을 목표로 외부는 바닥 석재공사와 난간 도장공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내부는 바닥 마루공사 및 벽지공사가 한창 진행 중입니다. 사용승인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남은 공정을 마무리 할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