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 7. 18
Vol.95
연제구 체육관 건립설계경기에 당선되었습니다. 부산 연제구에서는 학교와 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복합시설로 친환경적이며 도시경관에 미려한 체육시설 설계경기를 공고하여 10월, 가을의 시작과 함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 체육관의 총 대지면적은 18,302㎡으로 일반주거지역에 주거가 밀접한 지역에 서측 15m 쌍미천로와 접한 연동초등학교 운동장 서측에 위치하며 쌍미천로와 운동장은 9m정도의 높이차를 가지고 있어 지형의 차이를 고려한 설계안을 창안해야합니다. 특히 세부적으로 학생들과 주민들의 건강증진, 여가활동을 위한 체육관, 수영장, 체력단련실, 다목적공간 등의 프로그램을 편리한 동선과 쾌적하며 변화 가능한 계획을 통해 지속가능한 건축개념을 실현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었습니다. 설계안은 지형 차이로 인한 단절된 학교시설과 도시의 맥락을 이어주는 도시적 측면의 건축개념을 도입하여 건축적 장치 URBAN GALLERY, URBAN STEPS, URBAN DECK를 통해 시설이용자뿐만 아니라 학생과 인근주민들의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프로그램 성격으로 나눠진 건물로 인해 동선과 설비, 이용시스템에 효율을 주었으며 서비스코어를 집약시켜 추후 시설변동에도 대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설계계획을 하였습니다. 건축물 자체의 역할을 넘어 도시 속에서 사람들의 생활을 바꿀 수있는 힘이 건축 속에 있다는 것을 깨달았던 현상설계였습니다. 설계 참여한 모든 이로재분들 당선 축하드리며 수고 많으셨습니다.
도시에 서게 되는 건축은 그 장소와 시대적 과제를 가진다. 이 건축은, 지형의 차이로 단절되고 용도에 의해 끊어져야 했던 학교시설과 도시를 연결해야 하는 지점에 서게 되며, 따라서 이를 매개하고 접속시키는 도시적 프레임으로서 그 개념을 갖는 것이 요긴하다. 이 URBAN FRAME은 도시에서 학교로 진입하는 등굣길이며 윗마을이 아랫마을과 접속되는 골목이고 마당이다. 여기에서 모이고 만나며 서로를 확인하는 축제가 발생하고 문화가 형성되어 공동성을 확인할 문화적 풍경이 펼쳐질 것이 확실하다. 체육관과 수영장, 다목적공간 등 주어진 프로그램 외에 URBAN STEPS, URBAN DECK, URBAN GALLERY 등의 건축요소가 그런 공동체적 축제를 공고하게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SHS-
Issue
![]() | 광주비엔날레재단 `’어반폴리 프로젝트’ 협약 |
![]() | 제주추사관 개관기념 심포지엄 초빙 강연회 |
SHS 인터뷰 및 강의 시리즈 |
Works
![]() | 오대산 자연학습장Retreat Center, Mt. Odae
|
![]() | 퇴촌주택Toechon Residence, Gwangju
|
![]() | 삼양화학 신사옥 프로젝트Samyang Chemical Office Building, Seoul
|
![]() | 용인주택Yongin Residence, Yongin
|
![]() | 오스트리아 한인문화회관Korean Cultural Centre, Vienna, Austria
|
![]() | 강서 미즈메디병원 신관Gangseo Mizmedi Hospital Annex Bldg., Seoul
|
![]() | KIST 후문 수위실 증축설계Gate of KIST, Seoul
|
![]() | CHA의과학대학 약학대학College of Pharmacy, Cha University, Pocheon
|
![]() | 핑두 프로젝트Pingdu 4000 Housing, Pingdu, Chin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