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Porta Veritas
완공년도 | 2026 |
위치 | 서울 동숭동 |
대지면적 | 475.4m² |
건축면적 | 237.68㎡ |
연면적 | 1,602.74㎡ |
Structural engineer | 누리구조 |
Mechanical engineer | 디이테크 |
Electrical engineer | 대경전기 |
Lighting design | 뉴라이트 |
완공년도 | 2026 |
위치 | 서울 동숭동 |
대지면적 | 475.4m² |
건축면적 | 237.68㎡ |
연면적 | 1,602.74㎡ |
Structural engineer | 누리구조 |
Mechanical engineer | 디이테크 |
Electrical engineer | 대경전기 |
Lighting design | 뉴라이트 |
이 프로젝트의 원래 건축주는 원로 건축가 김원선생이었다. 한국건축계에 괄목할 업적을 이루신 선생이 대학로에 터를 잡은 것은 90년대초인데, 당신의 땅에 스스로 집을 지어 사무실을 운영하시다가, 그 땅을 포함한 주변의 개발로 상황이 변하여 다른 이가 지은 건물의 이곳으로 이전하여 20년여를 지내셨다. 건축적 의미를 찾기 힘든 상업적 건물의 소유주가 된 선생에게 나는 다시 지으실 것을 권유하였고 설계는 경기를 통해 결정하자고 농담처럼 말하곤 했던 게, 씨가 되었다. 오랜 세월이 지난 2023년 봄, 선생은 당신과 나와 또 다른 건축가와 3인이 경쟁할 것을 제안하시며 서로의 계획안을 제출하게 했다. 그리고 결국 내 제안을 받아들여 설계가 시작된 것이다.
나는 공연장과 부대시설 그리고 임대공간과 함께 선생의 건축기념관도 들어서야 한다고 주장하며 전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작은 성소까지 두어 특별한 성격도 갖게 했다. 작은 건축이지만 문화복합체가 된 이 건축을 나는 당신의 호인 원하(洹河)아트센터로 이름하자고 제안했다.
대학로에 사무실과 집을 두며 거처한 지 30년이 훌쩍 넘는 나는 오랫동안 이 땅에 대해 관찰하고 생각한 바 있어 계획안을 정리하는데 그리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도면도 그렸지만 그보다는 이 땅과 그 건축에 대해 오래된 생각을 글로 써서 제출하는 게 더 나을 것 같았다. 아래의 글이다.
경계. 주어진 대지는 역사도시 서울의 도성을 이루는 내사산의 동쪽 산 낙산의 비탈 아래에 위치합니다. 이 지역은 도성의 경계에 있는 까닭에 북악산에서 인왕산으로 흐르는 아름다운 지형의 선 그리고 남산에 이르며 펼쳐지는 서울의 풍경을 가장 잘 감상할 수 있는 지대이며 인왕산 너머로 피어오르는 석양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평지의 도심에서 산지의 주변부가 시작되는 경계를 점한 대지는 역사적이며 도시적 관점에서 중요한 논점을 제공합니다.
동숭동. 조선시대 유학을 가르치는 숭교방의 동쪽에 있는 곳이라 하여 동숭동이라고 이름 된 이 장소, 오래전부터 학문을 하는 선비나 관리들이 거주하며 조선왕궁과 종묘를 바라보며 수신과 제가와 치국과 평천하를 그리는 일이 일상이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지역은 오래전부터 학문연마와 심신수련의 기운이 서려 일찍이 가톨릭수도원이 부근에 자리 잡았고, 무엇보다 서울대학교와 여러 대학이 이곳에 자리 잡아 수많은 인재를 키워낸 것도 그 연유일 것입니다.
1-87. 1970년대 서울대학교 이전으로 비어진 만평 넓이의 이곳을 정부는 100개의 필지로 나누어 민간에게 분양하면서 이 지대는 혁명적 전환을 맞게 됩니다. 다만 서울대학교 본관이 있던 건물을 남기고 그 앞을 마로니에광장의 공지로 남기면서 그나마 장소의 기억을 상기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김수근선생을 비롯한 뛰어난 분들의 노력으로 마로니에 광장 주변에 문화시설이 들어서면서 이곳이 단독주거지에서 서울의 중요한 문화지역으로 변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도시. 물론 20세기말 서울을 뒤덮은 천민자본의 상업주의가 이곳 또한 휩쓸면서 문화지대구축은 순진한 희망이 되었고 급변하는 경제적 상황은 이곳의 풍경 또한 날마다 변하게 했지만 여전히 이곳에는 여러 대학의 분교와 교육시설이 수십 곳에 이를 정도로 많으며 아직도 문화를 심고자 분투하는 연극인들이 떠나지 않는 곳입니다. 대지는 이 지역 중심도로의 목표점에 위치하면서 주변도로와 접합니다. 그 중요한 위치성으로 도시적 요구에 대답할 의무가 있습니다.
단면. 하나 밖에 없는 땅을 점거하고 들어서는 건축물은 공공성의 가치를 외면할 수 없습니다. 특히 익명성을 전제로 하는 도시에서는 더욱 그러하며 이는 바로 건축의 윤리입니다. 지역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경계에 지형 차이를 가지며 위치한 대지는 스스로 연결점이 되어 도시의 매개체가 됩니다. 그러면 인왕산과 낙산이 이 건축을 통해 이어지며 이를 잇는 계단길은 중요한 도시의 공간적 인프라가 되어 많은 도시 이야기를 기록하게 될 것입니다..
필터링. 기본적으로 상업적 용도의 임대공간으로 채워지는 저층부의 외부는 거의 천박한 욕망의 모습으로 나타나기 마련이어서, 이를 제어할 장치로 프레임과 루버의 입면을 가졌습니다. 이는 또한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장치로 서로 적절히 필터링하며 소통하게 됩니다. 어떤 풍경이 들어와도 전체 입면을 유지하게 되며 더러는 내부자 스스로 풍경이 되어 외부에게 전하는 장치이기도 합니다.
블랙박스. 굴토 깊이 10미터를 넘지 않도록 하여 지하3층에 층고9미터의 공연장을 설치합니다. 땅 크기의 한계로 330석 규모의 객석은 최대한의 규모입니다. 지하3층에 200석 발코니층에 130석의 객석, 8.4 미터 폭과 6 미터 깊이의 프로시니움 무대와 측무대, 분장실 등을 갖춘 이 시설은 현재 이 지역에서 가장 부족한 규모의 공연장입니다. 혹은 내부 바닥을 가변적으로 만들어 객석과 무대를 자유롭게 구성하게 하면 블랙박스 같은 특별한 공연장이 될 수 있습니다.
환대. 가장 많은 통행량을 가진 도로변이며 중심로의 결절점인 장소입니다. 수 없이 많은 이들이 이곳을 찾아 잠시 머물기도 하고 서로를 만나 삶의 윤기를 더하는 계기가 되는 건축이면 좋겠습니다. 때로는 통행자가 비와 추위를 잠시 피하며 의지할 수 있는 공간이면 더욱 좋을 것입니다. 그래서 아무나 들어오는 집입니다. 누구에게도 열려 있으며 그렇기 위해 만만한 모양을 갖춘 집, 그렇지만 결코 만만히 여겨지지 않는 집. 환대하는 건축이고자 합니다.
계단길. 중심 가로에 면한 지하1층은 가장 많은 이들이 통행하고 접근하는 레벨입니다. 중앙길과 이어져 도시적 장치가 된 계단길에서는 이 건물의 다른 공간으로 연속되는 좁은 골목길도 시작되지만, 이 자체가 많은 이들이 만나고 헤어지는 무대입니다. 혹은 여기에 걸터 앉으면 도로의 풍경을 감상하는 객석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 계단길에 면하여 시시때때로 내외부를 연결하는 계단과 통로는 이 작은 도시의 길이 되었습니다.
도시의 성소. 대지의 북쪽 공간은 상대적으로 일조권 제한을 많이 받게 되어 낮은 레벨에 머뭅니다. 그러나 여기에 대단히 특별한 공간이 들어서게 했습니다. 작지만 길다란 박공지붕의 특별한 시설을 만듭니다. 마치 교회당 같을 수 있습니다. 계단길에서 오른 이들이 우연히 들어서면, 어쩌면 특별한 감동으로 우리들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할 지도 모릅니다. 우리 삶의 경계 같은 공간. 그래서 이 공간은 외부에서도 인식할 수 있도록 입면을 조정하였습니다.
경계의 집. 이 건축은 지리적으로도 도시의 경계에 위치합니다. 중심부와 주변부를 잇는 지점에 있어 수없이 많은 이들이 이 건축과 장소를 통해 삶을 기록하고 많은 기억을 남길 것입니다. 또한 이 건축이 익명의 도시인들에게 도시와 장소에 대한 새로운 경험과 인식을 고양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우리의 공동체를 다시 회복할 수 있는 시설이 되길 바랍니다. 그래서 이 프로젝트를 경계의 집이라고 이름 했습니다.
설계는 마쳤지만 이 프로젝트의 진행은 쉽지 않았다. PF 즉 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을 통해 자금을 마련하여 실현하는 방법을 통한다고 전해왔다. 새롭게 등장한 PF 담당자의 요구와 까다로운 법규와 심의의 험난한 과정을 거쳐 모든 설계 과정을 드디어 완결했으나, 그 사이 우크라이나전쟁 같은 외부 요인으로 인해 치솟은 공사비는 개발로 인한 가상소득을 상회하여, 이미 과도한 은행 부채를 짊어진 이 땅은 매매 이외에는 현실적 해결방법이 없는 것으로 결국 통보를 받고 만다. 허망하였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내 마음에서 내내 떠나지 않았다. 더구나 이 땅은 내 사무실과 가까운 곳이었으니 이곳을 자주 지나칠 수 밖에 없는데, 그럴 때마다 이 땅의 운명에게 안부를 물었다. 애절하였다.
한 해가 가고 서너달이 또 지났을 때다. 문득 한 분이 나타났다. 이 프로젝트에 대하여 사무실 웹사이트에 실린 내 글을 읽었다고 했다. 이 땅을 매입할 뿐 아니라 내 설계를 그대로 사용하겠다고 하는 것이다. 게다가 책방을 비롯한 시설로 청소년들에게 희망을 만드는 건축이 되기를 원한다는 새 건축주의 말은 그야말로 복음이었다. 나는 건축이 가져야 하는 가장 중요한 가치는 공공성이라고 강조해왔다. 개인의 집이라 해도 이웃과 이 집을 지나는 이들에게 크고 작은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게 건축이며, 따라서 그들에게 선한 영향을 미치도록 건축은 공공의 가치에 복무해야, 세상에서 하나 밖에 없는 그 땅을 점거할 자격이 있다라고 믿는다. 그런 공공성의 가치를 인식하는 건축주가 좋은 건축주이며, 그 건축주가 좋은 건축가를 만들고, 그 건축가가 좋은 건축을 만들 수 있다라고 늘 말해왔는데, 그런 건축주가 이 땅의 새 주인으로 나타난 것이다.
몇 가지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다소 설계를 고쳤지만 애초의 얼개는 더욱 단단해졌고, 낮은 옥상의 작은 성소는 더욱 빛나게 되었다. 상업적 이익을 추구하지 않겠다는 건축주의 의사가 오히려 설계를 더욱 건실하게 하는 채찍이 되었고 모든 디테일들을 다시 다듬었다. 뿐만 아니었다. 설계를 다시 끝내고 시공입찰을 한 결과, 바로 얼마전에 내가 상주하면서까지 지은 왜관수도원의 건설사가 선정이 되고, 그 현장을 담당했던 소장이 여기에 다시 배치되었다. 그는 현장에서 매일 아침 내 성가신 당부를 들으며 공사를 마친 바 있었다. 이토록 모든 과정이 특별하게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는 과연 나에게 어떤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인지 궁금할 수 밖에 없다. 땅은 언제나 스스로의 운명을 찾아 우리보다 훨씬 긴 생명을 결국은 선한 방향으로 이어 간다는데…. 그럴게다.
우여곡절을 거치며 제 길을 찾은 이 프로젝트의 이름을 바꾸어야 했다. 경계의 땅이어서 다른 공간 사이의 공간 즉 리미널랜드 혹은 리미널스페이스라는 단어가 설계를 진행하면서 계속 머리에 머물러있었으니 프로젝트의 이름으로서도 잠정하고 있었지만, 일반에게 생소하고 또한 그 추상적 의미가 걸렸다. 결국, ‘경계의 문’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이의 라틴어인 ‘라포르타’라고도 썼다. ‘진리는 나의 빛(Veritas Lux Mea)’을 모토로 삼는 서울대학교 본관이 있던 지대의 경계에 위치하여, 그 경계의 안팍을 연결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건축이니, 진리로 향하는 문(La Porta Veritas)을 연상할 수 있으면 좋겠다.
The original client for this project was the respected senior architect, Kim Won. With significant achievements within the Korean architecture community, he first settled in Daehangno in the early 1990s. Initially, he constructed his own building and operated his office there. However, due to subsequent development in the surrounding area, circumstances changed, and he relocated into a commercially oriented building constructed by another architect, where he spent about twenty years. Observing this building, which lacked architectural significance, I jokingly suggested to Architect Kim Won that he should build again and even proposed, half-seriously, holding a design competition. Remarkably, this casual remark eventually took root. In the spring of 2023, many years later, Kim Won proposed a competition between himself, me, and another architect, each submitting our proposals. Eventually, my proposal was accepted, and design commenced.
I advocated for a program that would incorporate not only performance spaces, ancillary facilities, and rental areas, but also a commemorative architectural museum dedicated to Kim Won himself. Additionally, I introduced a small chapel-like sanctuary to lend the project a distinctive character. Although compact in size, the resulting cultural complex would carry significant meaning. I suggested naming this building “Won-Ha Art Center,” using Architect Kim Won’s pen name.
Having lived and worked in Daehangno for over 30 years, I had spent considerable time contemplating and observing this particular site, making it relatively straightforward to organize my thoughts into a coherent proposal. Rather than just producing drawings, I decided it would be more meaningful to present my long-standing thoughts about this land and the proposed architecture in written form. The following text reflects these ideas:
Boundary:
The site is located beneath the slopes of Naksan Mountain, one of the four mountains historically forming Seoul’s city walls. Due to its location at the boundary of the historic city, the area offers outstanding views of Seoul’s scenery, especially the panoramic landscape stretching from Bugaksan Mountain to Inwangsan Mountain, eventually reaching Namsan. It also provides splendid sunset views rising beyond Inwangsan. Situ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lat city center and surrounding hills, the land occupies a significant historical and urban position.
Dongsung-dong:
This area received its name from its location to the east of “Sunggyobang,” the district dedicated to Confucian scholarship during the Joseon Dynasty. Historically, scholars and officials lived here, constantly viewing the royal palaces and Jongmyo Shrine while reflecting on their personal discipline, family governance, and ambitions to govern the nation. Thus, the atmosphere of academic pursuit and spiritual refinement naturally infused the area, leading early Catholic monasteries and, notabl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several other universities to settle here, nurturing numerous talented individuals.
1-87:
Af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relocated in the 1970s, the government subdivided the vacant ten-thousand-pyeong site into 100 parcels, distributing them privately and marking a radical transformation of the area. However, the university’s main administrative building was preserved, and the adjacent land was kept open as Marronnier Park, preserving the place’s memory. The efforts of influential architects like Kim Swoo-geun introduced significant cultural facilities around Marronnier Park, converting this area from a residential district into a vital cultural hub of Seoul.
City: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rampant commercialization engulfed Seoul, inevitably impacting this area. The idealistic cultural district became a fragile hope amid rapidly shifting economic realities. Yet, many univers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remain, and theater practitioners still persevere, embedding cultural values. The site, strategically position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area’s main thoroughfare, bears a responsibility to respond meaningfully to urban demands.
Section:
A building occupying a unique site inherently carries a duty toward public value. Especially in the anonymity of an urban setting, this responsibility becomes even more significant—a fundamental architectural ethic. This site, bridging a topographical difference between the city’s central and peripheral areas, naturally becomes a connector, mediating urban dynamics. It connects Inwangsan and Naksan mountains, transforming the steps running through it into vital urban infrastructure, a place recording the stories of the city.
Filtering:
The lower floors, primarily dedicated to commercial rentals, typically display superficial desires. To control and manage this, we created a façade incorporating frames and louvers. These elements function as filters, balancing internal and external interactions. Regardless of the scenery brought in, the façade maintains a coherent aesthetic, occasionally even allowing internal activities to become part of the external landscape.
Black Box:
We positioned a performance hall with a ceiling height of nine meters at basement level 3, carefully maintaining excavation within ten meters of depth. Due to site constraints, a 330-seat venue was the maximum feasible size, comprising 200 seats at basement level 3 and an additional 130 on the balcony level. Equipped with an 8.4-meter wide and 6-meter deep proscenium stage, side stages, and dressing rooms, this theater fulfills a scale currently scarce in the area. Flexible flooring arrangements could transform it into a distinctive black-box theater, allowing dynamic configurations of audience and stage.
Hospitality:
Located at the junction of central roads and heavily trafficked pathways, the building aims to encourage casual gatherings and spontaneous interactions, enriching urban life. The space could even offer pedestrians brief shelter from rain or cold—an inviting space accessible to all, designed to feel approachable yet respectable, exemplifying hospitable architecture.
Stairway:
The underground first level, directly accessible from the main street, sees significant foot traffic. The stairway acts as a significant urban device, connecting to other narrow paths within the building, forming intimate urban lanes. The stairs themselves serve as gathering spots, encouraging people to linger and observe street life, creating a vibrant urban theater.
Urban Sanctuary:
The site’s northern area is subject to significant shadow constraints, leaving it relatively lower in height. Here, we created a small but elongated gable-roofed structure reminiscent of a chapel. Visitors ascending the stairway might unexpectedly encounter this contemplative space, enriching their daily lives profoundly. We carefully designed its façade to ensure its special character is visible from outside, marking a boundary space of meaningful contemplation.
House on the Boundary:
This building is physically situated at the city’s boundary, mediating between the city center and its outskirts. Many will record their memories and life experiences through this architecture and place. We hope this project enhances the urban experience for anonymous city dwellers, ultimately aiding the restoration of our community. Thus, we named this project “House on the Boundary.”
Though the design was completed, realizing this project proved difficult. Funding through project financing (PF) required navigating new demands, stringent regulations, and rigorous review procedures. The sharp rise in construction costs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war in Ukraine, ultimately surpassed projected development profits. The site, burdened by significant debt, seemed destined for sale—a disheartening reality. Yet the project lingered in my mind persistently, intensified by the site’s proximity to my office, frequently reminding me of its uncertain fate.
After a year and several months, someone unexpectedly approached me, having read my description of the project on our website. This new client purchased the land, intending to utilize our original design. More significantly, their wish to create a facility nurturing hope among youth through spaces like a bookstore was incredibly uplifting news. I’ve always emphasized architecture’s greatest value as public benefit. Buildings, even private homes, significantly impact neighbors and passersby and thus should serve public good. Recognizing such a value defines an excellent client, who in turn fosters good architecture. Such a client had now appeared as the new owner.
We slightly modified the design to accommodate new programs, solidifying the original framework. The small sanctuary atop the building now gained further prominence. The new client’s desire to avoid commercial profit served as a driving force, refining the design details meticulously. Furthermore, after re-completing the design, we selected the same construction firm that had successfully completed Waegwan Abbey, where I had personally supervised the construction. Even the same site manager returned to oversee this project, already familiar with my rigorous expectations.
Given this extraordinary sequence of events, I wonder about the final outcome of this project. The land, seeking its own destiny, eventually moves toward good beyond our lifetimes. Surely, it will.
Through numerous challenges, the project finally found its path, prompting a new name. Situated on a boundary, the concept of “liminal land” or “liminal space” continuously lingered in my mind. Though initially calling it “Liminal Space,” I eventually settled on “House on the Boundary.” The Latin term, “La Porta,” seemed fitting. Located at the bounda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historic site, whose motto is “Veritas Lux Mea” (“Truth is my Light”), the building connects and moderates between boundaries. We hope it evokes the notion of “La Porta Veritas”—a gateway toward truth.